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고급 부력 조절

부자포포요 2021. 2. 15. 18:05

고급 부력 조절

실제 그 사람의 실력은 기록된 활동 횟수나 자격증의 숫자보다 얼마나 정확하게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숙련된 사람은 최소한의 힘으로 원하는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정지하거나 공중에 떠있을 수 있다. 이번엔 이 기술을 완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들을 알아보자.

부력의 원리

이전에 배운 것을 생각해보자. 부력은 물체의 무게와 같은 부피의 물의 무게에 의해 결정된다. 만약 물체의 무게가 물보다 무거우면 가라앉고 이 상태를 음성 부력이라고 한다. 반대로 물체가 물보다 가벼우면 물에 뜨고 양성 부력이라고 한다. 그런데 물체의 무게가 정확히 물과 같다면 이 물체는 가라앉지도 않고 뜨지도 않게 되며 이 상태를 중성 부력이라고 한다.

양성 부력과 중성 부력에도 정도가 있다. 약한 양성 부력과 강한 양성 부력이 있으며 약한 음성 부력과 강한 음성 부력이 있다. 이런 차이는 물체의 무게와 물의 무게의 차이에 의해 나타난다. 양성과 음성 부력의 정도는 물체가 수면으로 솟아 오르거나 가라앉으려는 힘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중성 부력은 정확한 상태이며 정도가 없다. 즉 물체와 물의 무게가 정확히 같은 상태이다.

부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

사람은 자신의 전체적인 부력에 영향을 주는 여러가지 요인을 알고있어야 한다. 오래 전부터 보통 사람은 민물에서 중성 부력을 갖는다고 알려져 왔다. 이 말은 듣는 사람의 이해를 돕지만 실제로는 많은 사람들이 보통에 속하지 않고 편차도 심하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즉 양성 부력이나 음성 부력을 갖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 양성과 음성 부력의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이는 개인적인 체중과 몸의 부피에 따라 달라진다. 체중과 부피라는 두 가지 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근육과 체지방이다. 근육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음성 부력을 띠고 지방은 밀도가 낮기 때문에 양성 부력을 유발한다. 게다가 골격의 상태 역시 인체의 무게에 큰 영향을 줌으로써 부력에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골격이 굵다.

가장 흔한 옷은 네오프렌이다. 이 재질의 내부는 고무로 꽉 채워져 있지 않고 수 많은 거품으로 채워져 있다. 이 거품들은 작은 폐쇄된 공기 주머니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주머니들이 이 물질이 단열성을 갖도록 해주는 것이다. 또 이 주머니들은 해당 부피의 물 무게만큼 옷을 가볍게 해준다. 이것이 옷이 사람을 양성 부력으로 만드는 이유이다. 물론 보온력과 양성 부력 정도는 그 두께에 따라 다르다.

또 다른 형태의 옷은 드라이 슈트가 있다. 이 옷은 공기층을 담고 있는 방수 옷이다. 따라서 갇혀 있는 공기는 양성 부력을 유발하다.

장비의 구성 역시 전체 부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부력 조절기 중에는 금속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종류도 있고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종류도 있다. 금속성인 경우 음성 부력을 띤다. 추가 장비들은 장비 자체의 부력을 갖고 있어서 사람의 부력에 영향을 준다. 이들 장비 역시 물체의 무게와 같은 부피의 물의 무게에 의해 부력이 결정된다.

이런 장비 구성 중에서 납으로 만든 것은 매우 밀도가 높은 금속이기 때문에 같은 부피의 물과 비교하여 매우 무겁다. 따라서 사람의 양성 부력을 줄이기 위해서 납을 추가 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부력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환경적인 요소이다. 해수는 민물보다 더 무겁다. 일리터의 해수의 무게는 1.03kg이고 민물의 무게는 1.00kg이다. 같은 사람이 동일한 장비를 착용할 경우 해수와 담수로 비교하면 해수에서 더 무겁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 민물에서 보다 해수에서 부력이 더 크다.

적절한 웨이트 조절

평범한 사람이 모든 장비를 착용하고 웨이트를 착용하지 않는다면 수면에서 양성 부력이 될 것이다. 이것은 간단한 물리적 결과이다. 옷과 장비를 포함한 사람의 전체 무게가 같은 부피의 물의 무게보다 가볍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강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웨이트가 필요하다.

웨이트가 부족한 다이버는 하강하기가 어렵다. 하강한 다음에도 몸을 가누기 위해 계속 허우적거리게 된다. 최악의 경우에는 사람이 갑자기 조절되지 않는 빠른 속도로 수면으로 끌려 올라가게 된다. 반대로 몸이 뜨는 것을 염려하여 너무 많은 웨이트를 착용하는 사람도 있다. 물론 웨이트가 많은 경우에도 바닥에 닿지 않으려고 허우적거리게 된다. 이 경우에는 단지 부력조절기에 약간의 공기만 주입하면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부력조절기를 많이 부풀리면 이동중에 저항을 받게 되어 사람을 지치게 하여 공기 소모율과 피로감이 커진다.

사람은 항상 필요한 만큼의 웨이트만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적절한 웨이트를 조절하려면 약간의 기술이 필요하다. 앞에서 나열된 부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 때문에 부력을 수학공식으로 계산하기는 어렵다. 웨이트를 조절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시도해보고 오류를 수정하는 실험적인 방법이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